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 시카고 컬추럴 센터의 티파니 돔

현재 시카고의 중앙 공립 도서관은 해롤드 워싱턴 도서관이다. 다운타운 스테이트와 밴 뷰렌 길에 위치하고 있는 이 빨간색 벽돌 건물은 시카고 최초 흑인 시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이 건물은 지혜의 상징이라고 알려진 부엉이가 건물 옥상에서 지상을 내려보고 있다. 시카고를 배경으로 촬영된 영화 배트맨에서도 배트맨이 이 건물 옥상에서 사색에 잠긴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     이전에는 미시간과 랜돌프길에 위치한 지금의 시카고 컬추럴 센터가 최초의 시카고 공립 도서관이자 대표적인 도서관이었다. 현재는 컬추럴 센터로 바뀌었고 각종 문화 행사와 전시, 여행자 정보 센터 등이 운영되고 있다. 미시간길 중심에 위치하면서 밀레니엄파크 길 건너편에 자리잡은 지리적인 이점으로 인해 매년 많은 시민들과 여행객들이 이 곳을 찾는다.     시카고 컬추럴 센터는 한인 단체들도 종종 행사를 개최하기도 한다. 예전에 한인회가 한인 추석 잔치를 개최할 때에는 이 곳에서 행사를 개최하곤 했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행사는 이명박 대통령이 재임시 시카고를 찾았을 당시 람 이매뉴얼 시카고 시장이 환영식을 개최했을 때다. 2011년 10월 닷새간의 미국 방문 기간 중 이명박 대통령은 워싱턴 DC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상하원 합동 연설을 통해 한미 FTA의 효과와 한미동맹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연설한 뒤 디트로이트를 거쳐 시카고에 들렀다. 시카고 컬추럴 센터에서 열린 경제인 만찬 간담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한인 2세 조세핀 리가 이끄는 시카고 어린이 합창단의 공연을 지켜보기도 했다.     시카고 컬추럴 센터 중에서도 가장 빛나는 곳이 있다면 프리스톤 브래들리 홀일 것이다. 시카고 공립 도서관 이사로 25년 이상 재임했고 시카고 지역에서 성직자와 작가, 환경보호 활동가 등으로 활발한 활동을 한 프리스톤 브래들리의 이름을 딴 홀은 컬추럴 센터를 대표하는 장소다.     브래들리 홀은 또 티파니 돔으로도 유명하다. 티파니 돔은 직경 38피트, 1000 평방피트 넓이로 3만개 이상의 글래스와 243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돔은 철 구조물로 하중을 받치고 있으며 1897년 시카고 컬추럴 센터가 오픈할 당시부터 이 건물의 상징처럼 여겨졌다. 티파니 돔이라고 이름이 부쳐진 이유는 지금도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는 티파니 앤 코(Tiffany & Co) 설립자 찰스 루이스 티파니의 아들 루이스 컴포트 피타니가 이 돔을 제작했기 때문이다.     티파니사는 민트색의 보석 상자와 반지와 목걸이, 귀걸이, 손목시계 등의 고급 보석으로 유명하다. 사랑하는 연인에게 프로포즈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보석이 아마 티파니가 아닐까 싶다. 아울러 프로 미식축구 결승전인 수퍼보울 우승팀에 돌아가는 빈스 롬바르디 트로피를 만드는 제작사로도 티파니사는 알려져 있다.   시카고 컬추럴 센터 티파니 돔은 전 세계에 가장 큰 티파니 스테인드 글래스 돔으로 알려져 있다. 현장에서 직접 보면 그 웅장한 크기에 압도되며 스테인드 글래스 특유의 우아함과 클래식한 분위기를 잘 표현하고 있다. 또 돔 아래쪽으로는 형형색색의 타일이 벽에 부착되어 있는데 마치 화려하게 빛나는 보석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런 티파니 돔이 현재 복원 작업이 한창이다. 180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뒤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원래 모습에서 벗어난 곳곳을 세세한 손길로 복원하고자 주정부 예산을 들여 보수 및 복원 작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올 4월부터는 일부 복원 작업이 끝난 구역은 일반에게도 다시 공개된다. 한인들에게는 대표적인 행사가 열렸던 행사장으로 기억되는 브래들리 홀과 티파니 돔이 어떤 모습으로 돌아올지 기대된다. (편집국)     Nathan Park 기자시사분석 nathan 시카고 공립 이매뉴얼 시카고 시카고 어린이

2025-02-05

홀푸즈, 시카고 매장 2곳 문 닫는다

세계 최대 온라인 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소유한 식료품 체인 '홀푸즈'(Whole Foods)가 시카고 지역 매장 2곳을 폐쇄한다.     홀푸즈는 지난 29일 일리노이 2곳을 포함 미 전역에서 6개 매장을 문 닫는다고 밝혔다.     일리노이 주에서 문을 닫는 홀푸즈 매장은 시카고 남부 잉글우드와 시카고 북부 링컨 파크 드폴대학 내 매장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매장의 정확한 폐쇄 일정은 발표되지 않았다.     홀푸즈측은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 안타깝게도 기대치에 미치지 못 하는 매장들은 수 개월 내 문을 닫기로 결정했다"고만 밝혔다.     시카고 남부 63가와 홀스테드길 교차로에 위치한 홀푸즈 잉글우드점은 지난 2016년 문을 열었다. 당시 람 이매뉴얼 시카고 시장이 적극 유치한 결과였다.     이매뉴얼은 당시 홀푸즈의 입점을 위해서 각종 혜택을 제공했다. 홀푸즈에 제공한 시 지원금만 1100만 달러에 달하고 세수 증대 지역권(TIF)을 연장해주기까지 했다.     그러나 결국 6년만에 문을 닫게 되면서 남부 지역 식품 사막화가 다시 악화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앞서 시카고 서부 웨스트 가필드 지역에 있었던 다른 식품 체인 알디 역시 문을 닫자 시카고 시의회는 70만달러를 지원해 알디 건물을 매입하기도 했다.     잉글우드 홀푸즈점 폐쇄 소식이 전해지자 지역 정치인들은 일제히 아마존을 비난하고 나섰다.     이매뉴엘 크리스 웰치 일리노이 주 하원 의장은 “아마존 소유주인 제프 베조스는 1800억달러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즐겁게 우주 여행을 다니는데 가난한 사람들에게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는 것을 막고 있다. 그가 더 많은 이윤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베조스와 같은 억만장자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해야 하는 이유"라고 밝혔다.     지역 주민들도 2020년 여름 흑인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시위와 폭동이 발생했을 당시 홀푸즈 잉글우드점이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 주민들이 스스로 나서 매장 보호에 나섰다는 점을 들어 아마존이 시카고 주민들을 배신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로리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은 홀푸즈를 대신할 새로운 식품 체인점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홀푸즈가 들어선 자리에 세워진 재개발 프로젝트는 시청과 계약을 맺고 적어도 2027년까지는 식품점을 운영토록 되어 있다.     시카고 시청은 이런 조건으로 재개발 대상 부지를 1달러에 판매한 바 있다.     라이트풋 시장은 "빈 건물을 그대로 두진 않을 것이다. 이미 새로운 식품점 유치를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새로운 대안을 구할 것이고 지역 주민들이 원하고 접근할 수 있으며 참여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Nathan Park•Kevin Rho 기자아마존 시카고 시카고 지역 시카고 주민들 이매뉴얼 시카고

2022-05-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